![]() |
||
2). 현령(縣令) 송저(宋詝)[주: 明宗朝 신축 11년(1181) ] 생몰년 미상. 고려 의종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의종 때 등제하였다. 합문지후(閤門祗候)로 있을 때 정중부(鄭仲夫)의 난이 있었으나 평소에 쌓은 덕으로 화를 면하였다. 1178년(명종 8) 어사중승(御史中丞)으로 법을 위반한 정중부의 가노(家奴)를 치죄하다가 정중부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 위위경 우간의대부(衛尉卿右諫議大夫)에 제수되었다. 서북면병마사로 있을 때 의주에 문무 2인의 분도관(分道官)이 있어 주인(州人)들의 피해가 큰 점을 들어 문관으로 의주 분도관을 삼아 영주(靈州)·위원진(威遠鎭)을 예속시키고, 무관으로 정주(靜州)분도관을 삼아 인주(麟州)·용주(龍州)를 예속시킬 것을 건의하였으나 무신들의 권력을 빼앗는 것이라는 반발을 받아 거제현령으로 좌천되었다. 얼마 뒤 다시 간의대부가 되었으나, 무신에게 재앙이 미칠 것이라는 술사의 말을 믿은 무신들이 그 재앙을 문신에게 옮긴다는 책략에 따라 발생한 무고사건에 연루되어 섬으로 유배되었다. 명종이 그가 죄 없음을 알고 등용하려 하였으나 조정의 논의가 일치하지 못하여 좌절되었다. 1187년 판예빈성사(判禮賓省事)로 치사한 뒤 수년 후 67세로 죽었다.
3). 이윤섭(李允涉) 巨濟縣令(거제현령) 고려중기
4). 진용갑(陳龍甲)[沙島戰[주: 高麗 高宗朝 縣令 陳龍甲 以 주사전舟師戰(=수군전) 倭于此倭夜遁1226년1월 고종13년] 경상도 연해주군에 왜가 침구하므로 거제현령 진용갑이 수군으로 사도에서 싸워 2급을 참살하니 적이 밤에 도망하였다. 후에 장평진장(長平鎭將)승차 북쪽변방(화주 和州: 지금의 영흥) 동진과 조약체결. 당시 진용갑에게 내린 조서/ "농사일이 한창인데 한발이 재해를 끼치고 있다. 이는 정치와 형벌이 잘못된 탓이니 나는 심히 두려워 하노라. 참형과 교형 이하로서 유형중에 있는자는 가까운 곳으로 적당히 옮겨주고 감금되어 있는 죄수는 다 놓아줘라. 무인일에 동진이 화주에 침입하여 마소를 약탈하고 사람들을 납치하므로 진용갑이 사람을 보내 타일렀더니 다 버리고 갔다.
● < 조선시대(朝鮮時代) 대표적인 현령(부사) >
● <거제도 지방관 先生案> 巨濟郡邑誌 : 1899년(광무 3년)
직위 |
성 명
|
내 용 (재임기간)
|
<고려시대> 현령은 현의 수령으로, 현의 인구가 1만 명 이상이면 현령을 두고 그 이하이면 현장(懸長)을 두었다. 당시 거제인구 7000명~ 약 10000명
|
||
縣令
|
진중명(秦仲明)
|
生1078년 ~ 卒1137년
|
縣令
|
이윤수
|
명종5년 1175년 병부 상서에서 강직.
|
縣令
|
송저(宋詝)
|
고려 明宗 신축 11년(1181년)
|
縣令
|
이윤섭(李允涉)
|
고려중기
|
縣令
|
진용갑(陳龍甲)
|
1226년1월 고종13년,(고려 고종(高宗) 때에 왜적(倭賊)이 사도(沙島) 고현(古縣) 동쪽에 침입하자, 현령 진룡갑(陳龍甲)이 수군(水軍)을 이끌고 사도에서 싸웠는데 적이 밤에 도망쳤다. 적의 수급 2구)
|
縣令
|
최유공(崔愈恭)
|
1223년 고종 10년, 상장군(上將軍)직위 강등 부임
|
縣令
|
이윤보(李允甫)
|
1230년 전후, 李奎報(이규보)의 거제(巨濟)에 부임하는 '이사관(李史館, 이윤보(李允甫))을 전송하는 서'[送 李史館赴官 巨濟序]가 전하고 있다.
|
< 조선시대 >
1422년 거제도 본도 환도 후, 오아포(수군도안무처치사)․영등포․옥포 등이 거제현을 관장하였고(지현사 부임 時), 1430년(세종12)에 오아포에 수군 주진을 두고, 영등포와 옥포에 만호를 두었다. 1469년 이후로는 주진체제를 폐지하고 영(營)으로 바뀌었다.
|
||
知縣事
|
손이순(孫以恂)
|
1425년 (세종7년) 사등면 오양역 복구. 연일진병마절도사(延日鎭兵馬節度使)) 종2품 역임.
|
知縣事
|
안 격(安鬲)
|
1433년(세종 8년) 9월 세종은 거제지현사 안격을 불러 “금년에 곡식이 흉년들었으니 민생을 구휼하고 또 형벌을 삼가서 하라.”고 직접 불러 명령하였다.
|
縣令
|
이호성(李好誠)
|
1449년 거제현령 부임, 축고현성(築古縣城). 거제치소 관청을 옮겼다. / 1395~1468년 卒. 첨지충추원사, 경주부윤, 경상우도처치사 역임.
|
縣令
|
박계조(朴繼祖)
|
1504년 ~1505년 재임, 본관은 고령(高靈), 거제현령, 진주판관, 경산현령, 양산군수 역임.
|
縣令
|
오세한(吳世翰)
|
1510년 삼포왜란時 재직, 거제도 주물도 왜구 공격 27명 사살
|
縣令
|
홍응식(洪應軾)
|
|
縣令
|
이우(李 友)
|
|
縣令
|
이석간(李錫幹)
|
|
縣令
|
권이평(權以平)
|
별좌(別坐) 정·종 5품 벼슬 부임
|
縣令
|
고봉린(高鳳麟)
|
1556년 부임~1558년 2월18일에 41세로
재임 중 사망. 유애비 고현에 있었음.
|
縣令
|
정지영(鄭芝榮)
|
함양인 거제현령 사직 낙향
|
縣令
|
신종부(申從簿)
|
1503년~1575년, 성균생원(成均生員)인 신명우(申命佑)의 아들이다. 자는 옥경(沃卿)이며, 호는 공북정(拱北亭)으로 중종 35년(1540)에 무과에 급제하여 거제현령, 한성부판관, 영암군수, 울산군수를 역임하였다. 일찍부터 경서에 밝아 당대에 이름이 있었다.
청백리로서 거제현령을 이임하고 돌아올 때 가마에 아무것도 없고 해당화 한 떨기만 가져와서 영덕군 강구면 소월천에 심고 이곳에 별업(別業)하셨는데 지금도 그 꽃을 거제화(巨濟花)라 이름 한다.
|
縣令
|
김한문(金漢文)
|
|
縣令
|
이직간(李直幹)
|
|
縣令
|
남의(南 嶷)
|
訓鍊習讀來瓜遆 훈련습독 임기가 만료되어 부임.
|
縣令 |
송거(宋 琚)
|
部將來罷遆 종6품(從六品) 무관으로 부임.
|
縣令
|
윤거(尹 琚)
|
部將來移 拜監察 부장 무관으로 옮겨 왔는데 감찰 벼슬이었음.
|
縣令
|
김한(金 漢)
|
訓鍊主簿來瓜滿移拜濟用判官 훈련주부 임기 만료 부임, 제용감 종5품 판관으로 등용
|
縣令
|
이행(李 行)
|
部將來瓜遆 종6품(從六品) 무관으로 부임.
|
縣令
|
이희춘(李希春)
|
部將來瓜遆 종6품(從六品) 무관으로 부임.
|
縣令
|
이효종(李孝宗)
|
通訓大夫(통훈대부,정3품)宣傳官來瓜滿巡撫使鄭而周褒`
啓移拜靈巖郡守 선전관으로 임기가 끝나 순무사로 명성을 날렸다. 영암군수로 옮겼다. / 길주인(吉州人) 이효종(李孝宗)의 아내 백시(白時)는 남해현(南海縣)의 계집종[婢]
|
縣令
|
이영(李 瑛)
|
部將來瓜滿仍任一年移拜監察 종6품(從六品) 무관으로 부임 1년 더 연장 근무 후에 감찰로 옮김.
|
縣令
|
원균(元 均)
|
通訓大夫防踏僉使來貶遆 통훈대부,정3품 방답첨사이나 직위를 낮추어 부임. /벼슬의 등급이 떨어지고 다른 곳으로 보내짐
|
縣令
|
강로(姜 潞)
|
宣傳官來貶遆 선전관으로 낮추어(폄하여) 부임.
|
縣令
|
정발(鄭 橃)
|
宣傳官來貶遆 임진왜란 때, 부산진첨절제사 1592년4월14일 부산진성에서 전사, / 본관은 경주, 해남 현감, 비변사 낭간, 위원군수, 훈련원 부정, 역임. 좌찬성에 추증, 시호 충장공, 동래 충렬사 배향
|
縣令
|
선거이(宣居怡)
|
1550년(명종 5)∼1598년(선조 31).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사신(思愼), 호는 친친재(親親齋).진도군수·성주목사, 전라도수군절도사, 1592년 임진왜란 이순신을 도와 한산도해전에 참전. 그해 12월 전라도병마절도사로서 독산산성(禿山山城) 전투에서 권율과 함께 활약, 이듬해 2월에는 행주산성전투에서 권율을 도와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 뒤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올라 이순신의 함대를 도와 1594년 9월의 장문포(長門浦)해전 등에 참여하여 호남으로 진출하려는 왜적을 무찔렀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남해·상주 등에서 적을 막아내는 데 공을 세웠다. 이듬해 명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싸운 울산전투에서 전사했다. 1605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추봉되었다. 보성 오충사(五忠祠)에 제향되었다.
|
성
縣令 |
이천문(李天文)
|
司僕判官來貶遆 사복시 판관, 폄하여 부임.
|
縣令
|
안진(安 璡)
|
通訓大夫(통훈대부,정3품)來貶遆 낮추어(폄하여) 부임.
|
縣令
|
유위(柳 渭)
|
中直大夫(중직대부 종 3품 從三品)來貶遆 낮추어(폄하여) 부임.
|
縣令
|
김준민(金俊民)
|
軍器主簿來癸巳倭亂晉州陷城戰亡 임진왜란 1592년 고현성. 진주성에서 전사. 형조판서 추증. 신라왕씨 후손.
|
縣令
|
안위(安 衛)
|
判官來仍任六年陞拜全羅右水使 1593년 거제현령.
임진왜란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전부장(前部將)
|
縣令
|
김사종(金嗣宗)
|
南行訓正來戊戌舟師戰亡
선조 31년 1598년, 수군전에서 전사
|
縣令
|
신제운(申霽雲)
|
通訓大夫(통훈대부,정3품)來院 啓遆罷 / 고령 세우(世禹)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
|
縣令
|
류경선(柳敬善)
|
承議郞(정6품 상(上)의 문관)來庚子二月初四日到任同年
十二月日 啓罷(파직). 선조 33년 1600년 2월4일~ 12월.
|
縣令
|
류몽룡(劉夢龍)
|
朝散大夫(종4품(從四品) 종친(宗親) 문관)辛丑二月十二日 到任壬寅五月府 啓罷遆. 선조34년 1601년2월12일 ~ 1602년 선조35년 5월
|
縣令
|
윤준제(尹遵悌)
|
朝散大夫壬寅七月初二日到任甲辰正月監司 啓罷(파직)
1602년 7월2일 선조35년 ~선조 37년(1604년)1월
|
< 임진유사(壬辰遺事) > / 거제읍지
2. 거제현령 안위(安衛)
縣令 |
이경립(李景立)
|
朝奉大夫(종4품(從四品) 문관(文官)甲辰二月二十三日到任
陞資朝散同年十二月移拜永川郡守. 선조37년 1604년 2월23일 ~12월
|
縣令
|
변혼(卞 渾)
|
奉正大夫(정4품 상(上)의 문관)甲辰十二月初九日到任乙巳九
月災傷罷點. 선조37년 1604년 12월9일 ~ 1605년 선조38년 9월
|
縣令
|
이정남(李挺男)
|
通訓大夫乙巳十一月十六日到任戊申六月瓜遆.
선조37년 1604년~ 1608년 선조41년 6월
|
縣令
|
원수의(元守義)
|
通訓大夫戊申六月十六日到任己酉十二月院 啓罷.
1608년 선조41년6월16일~ 1609년 광해군원년 12월.
|
縣令
|
하경수(河景受)
|
朝散大夫己酉十二月十三日到任壬子七月瓜遆
1609년 광해군원년 12월13일~1612년 7월,광해군4년
|
縣令
|
황정열(黃廷說)
|
承議郞(정6품(正六品) 상(上)의 문관)壬子七月二十日到任癸
丑十一月院 啓罷. 1612년, 광해군4년7월20일~ 1613 광해군 5년11월
|
縣令
|
박유(朴 瑜)
|
通訓大夫癸丑十二月二十日到任乙卯正月聞喪奔敀.
1613년 광해군 5년12월20일~ 1615년 광해군7년,1월
|
縣令
|
김준민(金俊民)
'동명이인'
|
通訓大夫乙卯三月十三日到任同年閏八月院 啓罷 1615년 3월 13일 ~ 윤 8월. 본관은 상주, 임진왜란 전사한 김준민과 '동명이인' 선조38년 선무원 일등공신, 병조판서 추증.
|
縣令
|
신훤(申 萱)
|
通訓大夫乙卯閏八月二十日到任戊午三月瓜遆
1615년 윤 8월20일 ~ 1618년 3월
|
縣令
|
김정원(金廷元)
|
通訓大夫戊午三月二十五日到任庚申六月貶遆
1618년 3월 25일 ~ 1620년 6월
|
縣令 |
윤은걸(尹殷傑)
|
通政大夫(정3품(正三品) 당상관)庚申十二月十五日到任癸亥
八月院 啓罷.
1620년,광해군12년12월15일~1623년 광해군15년 8월
|
縣令
|
이지언(李祗言)
|
通訓大夫癸亥八月初十日到任同年十二月 暗行御史 啓罷.
1623년 8월~ 12월, 암행어사 계파.
|
縣令
|
박제립(朴悌立)
|
通訓大夫軍器主簿甲子二月初六日到任瓜滿仍任丙寅十月貶
遆. 1624년, 인조2년2월6일~1626년 인조 4년10월
|
縣令
|
남숙(南 淑)
|
通訓大夫備邊郞丙寅十一月二十日到任戊辰六月貶遆
비변랑 1626년 11월20일 ~ 1628년 6월
|
縣令
|
김치온(金就溫)
|
通訓大夫監察戊辰八月初六日到任己巳十月院 啓罷
감찰 1628년 8월 6일~ 1629년 10월
|
縣令
|
양응개(梁應漑)
|
通訓大夫己巳十一月二十七日到任辛未十月監司 啓罷
1629년 11월 27일 ~ 1631년 10월
|
縣令
|
이명립(李詺立)
|
通訓大夫南行辛未十二月十六日到任甲戌八月瓜遆
1631년 12월 16일 ~ 1634년 8월
|
縣令
|
남두경(南斗烱)
|
通訓大夫軍器寺判官甲戌閏八月初四日到任乙亥十月監司 啓罷.
1634年 인조12년 윤8월4일~ 1635년 인조13년 10월
|
縣令
|
정취도(鄭就道)
|
通訓大夫刑曹正郞乙亥十二月初一日到任丙子四月監司 啓罷.
1635년 12월 1일 ~ 1636년 4월 인조16년
|
縣令
|
노효성(盧孝誠)
|
通訓大夫丙子六月初三日到任同年十二月胡亂誤播戰亡之聲交
代李晩天到任矣 追因吏曹關丁丑三月還任因巡撿統制兩使狀啓陞堂上戊寅十一月兵使 啓罷 1636년 인조16년 6월3일 ~12월, 호란이 일어나 이만천과 교대 1637년 3월 돌아왔다. 순검사 통제사로 승차.
|
縣令 |
이만천(李晩天)
|
通訓大夫丁丑三月初三日到任纔十餘日前縣令還任故移 拜咸
安郡守. 인조15년 1637년 3월3일 부임, 10여일 전에 현령이 다시 돌아와 옛 곳으로 이동, 함안 군수.
|
縣令
|
김응윤(金應胤)
|
通訓大夫戊寅十二月初九日到任庚辰因暗行 御史褒 啓受賜
表裡辛巳五月瓜遆.
1638년 인조16년12월9일~1640년 인조18년
|
縣令
|
남서(南 恕)
|
通訓大夫辛巳七月初二日到任壬午七月貶遆.
1641年 인조19년 7월 2일~ 1642년 인조20년7월
|
縣令
|
신시호(申時豪)
|
通訓大夫午 [교정주:壬] 午八月初九日到任癸未六月貶遆
1642년 8월 9일 ~ 1643년 6월
|
縣令
|
허중립(許中岦)
|
朝散大夫備邊郞癸未十月初二日到任甲申十二月二十六日 爲別世.
1643年 인조21년 10월 2일~ 인조22년 1644년12월 26일 별세
|
縣令
|
이빈(李 穦)
|
通訓大夫乙酉三月初八日到任以統營旗牌官杖殺同年十二月拿去
1645년 3월 8일 ~12월
|
縣令
|
김무신(金武信)
|
通政大夫乙酉十二月初四日到任丙戌十二月貶遆
1645년 12월 4일 ~ 1646년 12월
|
縣令
|
이극준(李克俊)
|
通訓大夫丁亥二月十三日到任戊子五月以病辭遆
1647년 2월 13일 ~ 1648년 5월
|
縣令
|
이언규(李彦珪)
|
通訓大夫戊子七月初九日到任辛卯二月二十四日瓜遆.
1648년 인조 26년 7월9일~1651年 효종2년 2월24일
|
1648년 박태유(朴泰維)거제현령발령 곧 복귀(개차)
縣令 |
류정(柳 檉)
|
通訓大夫訓把捴辛卯二月二十六日到任壬辰七月初四日刑曹 啓罷. 1651년 2월26일~ 1652년 효종 3년7월4일
|
縣令
|
조박(趙 搏)
|
通訓大夫備邊郞壬辰八月初十日到任癸巳十一月初三日統制使 啓罷.
1652년 효종3년8월10일~1653년 효종4년 11월 3일
|
縣令
|
류동발(柳東發)
|
通訓大夫都捴都事癸巳十二月十五日到任甲午三月二十七日聞訃奔敀.
1653年 효종4년12월15일~ 1654년효종 5년3월27일
|
縣令
|
권유(權 瑜)
|
通訓大夫訓鍊哨官甲午五月十八日到任丙申十月二十二日瓜遆.
1654년효종5년 5월18일~1656年효종7년10월22일
|
縣令
|
진력(愼 櫟)
|
通訓大夫御營把捴丙申十月三十日到任戊戌六月貶遆.
1656년 효종7년10월30일~ 1658년 효종9년 6월
|
縣令
|
노형술(盧亨述)
|
通訓大夫監察戊戌八月二十一日到任庚子六月貶遞
1658년 8월21일 ~ 1660년 6월
|
縣令
|
권주(權 霌)
|
通訓大夫訓鍊把捴庚子八月初七日到任辛丑六月二十一日御史啓罷
1660년 8월 7일 ~ 1661년 6월21일 어사 계파
|
縣令
|
안여공(安汝羾)
|
通訓大夫辛丑七月二十六日到任壬寅正月辭遆
1661년 7월 26일 ~ 1662년 1월
|
縣令
|
김세기(金世器)
|
通訓大夫壬寅三月十五日到任甲辰正月辭遆
1662년 3월15일 현종3년~ 1664년 1월 辭遆
|
縣令
|
이동구(李東耉)
|
通訓大夫甲辰三月十六日到任同年七月移邑丙午七月 啓罷
1664년 3월16일 부임, 7월에 이읍 ~ 1666년 현종7년啓罷
|
▶ 1664년 (18대 顯宗현종 5) 甲辰年(갑진년)에 관청을 복건하면서 李東耈(이동구) 巨濟縣令(거제현령)이 읍치를 거제면 명진 3里 지점으로 이전했다.
縣令 |
최운서(崔雲瑞)
|
通訓大夫丙午八月初十日到任丁未八月啓罷聞喪奔敀
1666년 현종7년 8월 초10일 ~ 현종6년, 1667년8월
|
縣令
|
송필중(宋必中)
|
通訓大夫南部主簿丁未十月初二日到任己酉六月到界 進上闕封
啓罷.1667년 10월2일 ~ 1669년 6월
|
縣令
|
신전(申 倎)
|
通訓大夫都捴都事己酉九月初六日到任庚戌十一月杖殺人命 啓罷
도총도사(都捴都事) 1669년 9월 6일 ~ 1670년 11월
|
縣令
|
박영계(朴永繼)
|
通訓大夫辛亥二月二十四日因吏曹關除朝辭赴任癸丑八月遆敀
박영계(朴永啓).현종 12년(1671) 2월24일 ~ 1673년 8월
|
縣令
|
정선양(鄭善養)
|
通訓大夫癸丑八月十六日到任乙卯三月初九日暗行 御史 啓罷
1673년 8월 16일 ~ 1675년 숙종원년 3월 9일 암행어사 계파
|
縣令
|
박임(朴 恁)
|
通訓大夫乙卯三月二十日到任丙辰三月初一日 啓罷
1675년 3월 20일 ~ 1676년 3월1일
|
縣令
|
장우영(張羽瀛)
|
通訓大夫丙辰四月初十日到任同年十二月 貶罷. 숙종 2년(1676)4월10일 ~ 12월.
字(자)는 봉거(鳳擧), 晩悔堂(만회당) 慶遇(경우)의 孫(손), 南坡(남파) 의 次子(차자), 武科(무과)에 及第(급제)하여 承政院(승정원) 同副承旨(동부승지) 慶尙左道(경상좌도) 水軍節度使(수군절도사)를 역임.
|
縣令
|
백여규(白如圭)
|
通訓大夫丙辰十二月二十六日除授丁巳二月初十日到任同年十月
杖殺人命啓罷. 숙종2년 1676년 12월26일 제수, 1677년 숙종 3년 2월10일~ 10월
|
縣令
|
김기(金 淇)
|
通訓大夫丁巳十二月初二日到任戊午閏三月 進上闕封 啓罷.
1677년12월2일~ 1678년 윤 3월
|
縣令
|
박수표(朴壽彪)
|
都捴都事戊午閏三月二十八日政 除授五月二十五日到任己未六
月十四日政移, 拜司遵 [교정주:䆃] 寺主簿 1678년 3월28일 제수, 5월25일 도임~ 1679년 6월 14일
|
縣令 |
배정휘(裵正徽)
|
司憲府持平己未七月初二日赴任庚申九月自本道 啓罷因備邊關還
爲仍任辛酉二月暗行 御史 啓罷 사헌부지평 1679년 7월 2일 ~ 1680년 9월 본도 계파, 1681년 2월 비변사 근무 암행어사 계파
|
縣令
|
서승태(徐昇泰)
|
通訓大夫辛酉四月八日到任癸亥十月初三日瓜遆
1681년 4월 8일 ~ 1683년 10월 3일
|
縣令
|
고후적(高後適)
|
捴戎把捴癸亥十月初六日到任以軍器修改陞堂上甲子十月暗行 御
史啓罷. 숙종 9년: 1683년 10월 6일~숙종 10년(1684)10월. 암행어사 계파(啓罷)
|
縣令
|
공상렴(孔尙廉)
|
軍器寺判官乙丑正月二十二日到任丁卯八月瓜遆.
1685년 숙종 11년 1월22일~숙종 13년 1687년 8월
|
縣令
|
김세추(金世樞)
|
彌助僉使丁卯六月二十一日政移拜八月二十日到任戊辰五月十二日
以親病辭遆. 미조첨사, 1687년 8월20일~ 1688년5월12일
|
縣令
|
김대기(金大器)
|
通訓大夫戊辰五月十二日到任同年十月十一日災傷罷黜 재상파출
숙종(肅宗) 14年(1688년)5월12일~10월11일. / 1633년 生, 김현령재(김실령峙) 도로 개설 후 파직, / 일운면 망치 우거, 김해부사 제수 사양, 고향 공주에서 여생을 보냄.
|
縣令
|
이집(李 㙫)
|
中樞都事戊辰十二月二十三日到任以軍器修改陞堂上己巳六月貶遆.
1688년 숙종14년 12월23일~ 1689년 6월
|
縣令
|
한윤술(韓允述)
|
通訓大夫己巳八月二十一日到任庚午十二月貶遆
1689년 8월 21일 ~ 1690년 12월
|
縣令 |
신광협(申光浹)
|
通訓大夫庚午正月二十九日到任同年九月賑恤堂上癸酉八月瓜遆
1690년 1월 29일 ~ 9월 진휼당상, ~ 1693년 8월 만기 근무.
|
縣令
|
위동전(魏東峑)
|
通訓大夫癸酉八月初三日到任甲戌正月二十三日聞喪奔敀
숙종19년 1693년8월3일~ 1694년숙종20년 1월23일
|
縣令
|
장우극(張宇極)
|
通政大夫甲戌二月二十九日到任同年十二月因坮論熙川遠竄.
1694년숙종20년2월29일~ 12월
|
縣令
|
윤항(尹 沆)
|
通訓大夫乙亥二月十四日到任丙子四月御史 啓罷.
1695년숙종21년 2월14일~ 숙종 22년 1696년 4월
|
縣令
|
최형석(崔荊石)
|
通訓大夫丙子五月初三日到任丁丑十二月杖殺人命貶遆
1696년 5월 3일 ~ 1697년 12월
|
縣令
|
차의린(車義轔)
|
嘉善大夫別軍職戊寅正月十七日到任庚辰八月瓜遆
가선대부(종2품) 별군직 1698년 1월 17일 ~ 1700년 8월
|
縣令
|
유시해(兪是諧)
|
通訓大夫庚辰八月二十四日到任辛巳十二月貶遆
1700년 8월 24일 ~ 1701년 12월
|
縣令
|
임욱(林 煜)
|
通訓大夫壬午三月初一日到任癸未十二月貶遆.
1702년 숙종 28년3월1일~숙종 29년 1703년12월
|
縣令
|
변진영(邊震英)
|
通訓大夫甲申二月十九日到任以軍器修改陞堂上乙酉十二月吏曹 啓
罷 숙종 30년 1704년2월19일 ~1705년12월
|
縣令
|
정각(鄭 恪)
|
通訓大夫丙戌二月初六日到任同年十二月貶遆
1706년 2월 6일 ~ 12월
|
縣令 |
윤이태(尹以泰)
|
通訓大夫都捴經歷丁亥三月十四日到任己丑七月以軍器修補船滄改築
加資同年八月瓜遆 1707년 3월 4일 ~ 1709년 8월
|
縣令
|
조상은(趙相殷)
|
通訓大夫己丑八月二十八日到任庚寅閏七月留庫別餉米擅自分給因統
制使狀啓拿去.
1709년 숙종 35년8월28일 ~ 숙종36년 1710년 윤 7월
|
縣令
|
송계상(宋繼商)
|
通政大夫庚寅九月二十五日到任辛卯三月因本邑陞號遆去.
숙종36년 1710년 9월25일~숙종37년 1711년 3월
|
府使
|
변진영(邊震英)
|
通政大夫(정3품(正三品) 당상관)辛卯五月二十五日到任癸巳三月日
貶遆 康熙五十年辛卯三月日因本道狀 啓陞號府使(계승호부사).
숙종37년 1711년 거제도호부 승격. 1711년 5월25일~1713년 3월 초대 거제부사 / 거제면 죽림포 어해정 건립, 부사 직속인 전선대장 설치.
|
府使
|
김하정(金夏鼎)
|
通政大夫癸巳三月十六日到任乙未六月日報瓜狀貶遆.
1713년숙종39년3월16일~ 1715년 숙종 41년 6월
|
府使
|
양헌석(楊憲奭)
|
通政大夫乙未九月十八日到任丙申六月初十日別世.
1715년 숙종 41년9월18일~ 숙종 43년(1716년)6월10일 별세
|
府使
|
이붕징(李鳳徵)
|
嘉善大夫丙申八月十九日到任丁酉四月日塩漢犯松事自統營 啓罷.
숙종 43년(1716) 8월 19일 ~ 1717년 4월
|
숙종 37년(1711) 3월 12일 거제부사 이여적(李汝迪)을 개차 巨濟府使 李汝迪을 改差하고 연고가 없는 이로 차출할 것을 청하는 備邊司의 啓 辛卯三月十二日,1711년.
府使 |
이기(李 岐)
|
通政大夫丁酉五月十五日到任戊戌十二月日以身病辭遆.
1717年 숙종43년 5월15일 ~ 1718년 숙종 44년12월
|
府使
|
민진두(閔鎭斗)
|
通政大夫戊戌十二月初六日到任庚子十月日以見乃梁院舍任自斫用
事自統營. 啓罷同年十月十六日 拿去
1718년 숙종 44년12월6일~ 숙종 46년 1720년10월
|
府使
|
유일기(兪一基)
|
通訓大夫庚子十二月初三日到任辛丑二月以病辭遆
1720년 12월3일 ~ 1721년 2월
|
府使
|
손명대(孫命大)
|
通訓大夫辛丑二月日壬寅六月日貶遆
1721년 2월 ~ 1722년 6월 경종2년
|
府使
|
한계조(韓啓朝)
|
都捴經歷壬寅九月二十三日到任乙巳四月二十七日瓜遆
1722년 9월 23일 ~ 1725년 영조1년 4월 27일
|
府使
|
오성재(吳盛載)
|
通訓大夫乙巳四月二十七日到任以公廨修補之功陞堂上丁未九月十五日瓜遆. 1725년 영조1년 4월27일 ~ 1727년 9월15일
|
府使
|
이익(李 榏)
|
通政大夫丁未九月十七日到任戊申三月日以密陽試所事左兵營 啓罷拿去 1727년 영조3년~ 1728년 영조4년
|
府使
|
박종영(朴宗榮)
|
通政大夫戊申四月十七日到任庚戌三月以金海鎭營相避遆敀.
1728년 영조4년 4월17일 ~ 1730년 영조6년 3월
|
府使
|
안윤문(安允文)
|
通訓大夫庚戌六月十二日到任壬子三月日以松田燒火事自統營狀
啓罷點四月初八日拿去 1730년영조6년 6월12일 ~ 巨濟府使 安允文을 유임, 1732-03-22(음) 영조8년, 1732년 3월 송전 화재 통영 보고, 4월 8일 파직,
|
府使 |
허방(許 逄)
|
訓鍊副正兼禁衛郞廳壬子四月十八日到任癸丑三月日以松田失火事
統營狀罷因監營狀請還仍甲寅二月初九日都政移拜統虞侯
巨濟府使 許逄을 署經을 면제하고 1, 2일 안으로 辭朝하게 할 것을 청하는 備邊司의 啓 영조8년1732년 4월 18일 ~ 1734년 2월 9일
|
府使
|
변성우(邊聖佑)
|
通政大夫甲寅三月初十日政本職四月初四日順天營將移拜乙卯二月日以松板事自統營狀罷 영조10년 1734년 3월10일~1735년 2월
|
府使
|
신세광(申世洸)
|
通政大夫乙卯六月初三日到任丁巳十月十六日瓜遆以任巡中軍
1735년 6월 3일~ 1737년 10월16일
|
府使
|
김여호(金汝豪)
|
通訓大夫丁巳十月十五日到任己未七月初三日因巡使道狀 啓罷而欲免本職申等軍餉虛錄事自引請罷. 右議政 宋寅明 등이 입시하여統制使와 힘써 다투지 않고 바닷길로 해서 숨어서 올라온 巨濟府使 金汝豪를 義禁府로 하여금 처분하도록 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함. 1739-06-22(음) /재직 1737년 10월 15일 ~ 1739년 7월 3일
|
府使
|
윤붕정(尹鳳廷)
|
通政大夫己未七月初三日到任壬戌正月二十六日瓜遆
영조11년 1739년 7월3일 ~ 1742년 1월26일
|
府使
|
이창중(李昌重)
|
通訓大夫壬戌正月十六日到任以松林降續陳還起全無事因巡使道狀
啓癸亥九月十四日拿去 1742년 1월 16일 ~ 1743년 9월 14일
|
영조13년 1737년 新除授 巨濟府使沈鳳徵 戶奴
府使 |
구정환(具鼎煥)
|
通訓大夫癸亥九月十四日到任祭享黑牛體小不合封 進事禮曹陳
達乙丑十二月初一日就理遆. 1743년 9월 ~ 1745년 12월 1일 재임. / 영조19년 1743년 下直 巨濟府使具鼎煥
|
府使
|
박성선(朴性善)
|
通政大夫乙丑十二月初一日到任以上納稅舡晩時發舡致敗事戊辰二月十一日就理遆敀. 재임 1745년 12월 1일 ~ 1748년 2월11일 / 영조21년 1745년 下直, 巨濟府使 朴性善
|
府使
|
이중택(李重澤)
|
通訓大夫戊辰二月十一日到任庚午九月日瓜遆
1748년 2월11일 ~ 1750년 9월
|
府使
|
이재경(李再馨)
|
訓鍊院副正庚午九月二十七日到任同年十二月日以陳駕使行求請雜物
未及期輪送事拿問. 재임 1750년 9월 27일 ~ 12월 / 영조26년 1750-12-26(음)
|
府使
|
이경로(李景老)
|
訓鍊院副正辛未三月十五日到任壬申七月日辭遆 1751년 3월15일 ~ 1752년 7월 / 영조27년 1751년 下直, 巨濟府使李景老
|
府使
|
최암(崔 嵒)
|
通訓大夫壬申七月初七日到任而因釐正使書 啓甲戌三月二十日
就理遆敀 1752년 7월 7일 ~ 1754년 3월 20일
|
府使 |
김홍운(金弘運)
|
通政大夫甲戌三月二十一日到任丙子三月日吏曹論去臘月褒貶目以冷罰胡爲降中請罷四月初三日遆敀. 재임 1754년 3월 21일 ~1756년 4월 3일. / 영조30년 1754년下直, 巨濟府使金弘運
|
府使
|
김복원(金復元)
|
通訓大夫丙子四月初四日到任丁丑臘月貶中 點下戊寅六月初一日遆敀居義城 1756년 4월4일 ~ 1758년 6월1일.
|
府使
|
어도문(魚道文)
|
通訓大夫戊寅六月初一日到任己卯三月初六日別世 居楊州. 재임 1758년 6월 1일 ~ 1759년 3월 6일 별세 / 영조 34년 5월 13일 1758년 下直, 巨濟府使魚道文
|
府使
|
서행덕(徐行德)
|
通訓大夫己卯四月二十八日到任己卯十二月貶罷庚辰二月十九日遆敀
居豊德. 1759년 4월 28일 ~ 12월. 1760년 2월 19일 / 영조 35년 4월 12일 1759년 下直, 巨濟府使徐行德
|
府使
|
손익룡(孫翼龍)
|
通訓大夫庚辰二月十九日到任壬午七月十六日瓜遆. 재임 1760년 2월 19일 ~ 1762년 7월 16일 /
1760년 영조 36년 2월 1일 下直, 巨濟府使孫翼龍
|
府使
|
이방오(李邦五)
|
備局郞廳壬午七月十六日到任癸未十二月初六日以通信使渡海船差員事 罷職. 1762년 7월 16일 ~ 1763년 영조39년 12월 6일
|
府使
|
정운철(鄭運喆)
|
通政大夫癸未十二月初六日到任甲申六月日貶罷
1763년 12월 6일 ~ 1764년 6월
|
府使
|
윤이복(尹彝復)
|
通政大夫甲申八月初九日到任丙戌十二月十七日都政瓜遆丁亥正月十七日交龜. 재직 1764년 8월 9일 ~ 1766년 12월 17일 만기. 1767년 1월 17일 인계. / 1764년 영조 40년 7월 24일 下直, 巨濟府使尹彝復
|
府使
|
이윤국(李潤國)
|
通訓大夫丁亥正月十七日到任戊子十月二十二日交龜
1767년 1월 17일 ~ 1768년 10월 22일 인계.
|
영조 42년 8월 1일1766년 巨濟府使 심이지(沈履之)
府使 |
남태저(南泰著)
|
嘉善大夫都憲戊子十月二十二日到任己丑五月初四日外任文官侍從 特遆時遆敀.
영조 44년 1768년10월22일 ~1769년 영조45년 5월4일
|
府使
|
손상룡(孫相龍)
|
通訓大夫己丑五月十五日到任辛卯二月初十日慶州營將移
1769년 5월 15일 도임, 1771년 2월 10일 경주영장 이임.
|
府使
|
양세순(梁世純)
|
通政大夫庚寅十二月二十一政除授辛卯十二月貶遆
1770년 12월 21일 제수 ~ 1771년 12월 만기.
|
府使
|
윤수인(尹守仁)
|
僉正十二月除授甲午五月日陞資同年六月日瓜遆.
첨정 12월 제수, 1774년 5월 당상관, 동 6월 이직.
/ 영조 48년 1월 7일1772년 下直,巨濟府使尹守仁
|
府使
|
윤형렬(尹衡烈)
|
參上宣 傳官甲午七月十七日到任丙申十一月日因 特敎拿罷
참상선전관, 재임 1774년 7월 17일 도임~ 1776년 11월 //
영조52년=정조즉위년 1776년11월16일(음)命 巨濟府使 尹衡烈 拿問嚴繩.
|
府使
|
이장한(李章漢)
|
通政大夫丙申十一月二十四到任丁酉九月日以倭粮趁不繼給事因東萊府使狀啓罷敀. 1776년 11월24일 ~ 1777년 9월.
|
府使
|
김성구(金聲九)
|
通政大夫丁酉十月十二日到任戊戌六月貶罷
1777년 10월 12일 ~ 1778년 6월
|
府使
|
류진무(柳鎭茂)
|
通訓大夫戊戌八月初六日到任辛丑二月日瓜遆
1778년 8월 6일 ~ 1781년 2월 만기
|
府使
|
이달관(李達觀)
|
通訓大夫辛丑二月二十四日到任壬寅六月陞資癸卯正月忠州營將移拜. 1781년 2월 24일 ~ 1782년 6월당상관, 1783년 1월 충주영장 이배. / 巨濟의 솔밭 화재에 책임이 있는 巨濟府使 李達觀 등을 從重推考할 것을 청하는 備邊司의 啓. 정조6년 1782-03-21(음)
|
府使 |
이기현(李琦鉉)
|
通訓大夫癸卯正月二十四日到任乙巳三月罷.
1783년 1월 24일 ~ 1785년 3월
1785-03-12(음)정조 9년 罷黜 巨濟府使 李琦鉉
|
府使
|
신대영(申大偀)
|
通政大夫乙巳三月二十二日到任丙午六月貶中七月二十二日遆敀.
1785년 3월 22일 ~ 1786년 7월 22일
/ 1785-03-12(음)정조9년 有政 吏曹判書 李命植 參判 徐有防 進 以 申大偀 爲 巨濟府使
|
府使
|
김혁(金 爀)
|
通訓大夫宣傳官丙午七月二十二日到任丁未十二月二十二日以松田請罷. 재임 1786년 7월 22일 ~ 1787년 12월 22일 / 松田의 失火問題로 巨濟府使 金爀을 決杖하여 후인의 懲戒로 삼기를 청하는 左議政 李在協의 啓,정조11년 1787-04-20
|
府使
|
허(許)
|
通政大夫戊申正月二十一日到任己酉六月貶中七月初十日遆敀.
정조12년1788년 1월21일 ~ 정조13년1789년6월 폄중, 7월10일
|
府使
|
이익현(李翼鉉)
|
通訓大夫己酉七月初十日到任辛亥六月二十四日政淸州營將移拜
1789년 7월 10일 ~ 1791년 6월 24일
|
府使
|
류홍원(柳弘源)
|
通訓大夫辛亥七月十二日到任甲寅三月十九日瓜遆
1791년 7월 12일 ~ 1794년 3월 19일
|
府使
|
심인(沈 鏔)
|
通訓大夫咸安郡守移拜本職甲寅三月十九日到任同年十二月日慰諭使狀罷乙卯正月日遆敀庚申八月日正法. 함안군수 본 직으로 이임, 1794년 3월 19일 ~ 12월 재임 /
1794-12-12(음) 정조18년命 巨濟府使 沈鏔 待畢捧糴拿來嚴處
|
府使
|
양완(梁 垸)
|
通政大夫乙卯正月初六日到任丁巳五月十五日以漕船護送事京罷拿遆. 1795년 1월 6일 ~ 1797년 5월 15일
|
府使
|
신계문(申啓文)
|
通政大夫丁巳五月十五日到任己未七月初七日瓜遆.
1797년 정조21년 5월 15일 ~ 1799년 7월 7일
|
府使 |
신대익(申大益)
|
通政大夫己未七月初七日到任庚申五月十五日瓜遆
1799년 7월 7일 ~ 1800년 5월15일
|
府使
|
이영철(李永喆)
|
通政大夫庚申五月十五日到任壬戌三月十五日辭遆.
정조24년 1800년 5월 15일 ~ 순조 2년, 1802년 3월15일
/ 1800-05-02 정조24년 以 李永喆 爲 巨濟府使 口傳也
5월3일 召見 巨濟府使 李永喆 于 重熙堂
|
府使
|
신성(申 偗)
|
通訓大夫壬戌三月十三日到任甲子二月十三日政淸州營將移拜.
1802년 순조2년 3월13일 ~ 순조4년 1804년 2월13일
|
府使
|
심능준(沈能俊)
|
通訓大夫甲子二月二十九日到任同年八月初四日承訃奔敀
1804년 2월 29일 ~ 8월 4일
|
府使
|
우척하(禹拓夏)
|
通訓大夫甲子九月初七日到任乙丑閏六月二十五日貶遆
1804년 9월 7일 ~ 1805년 윤 6월 25일
|
府使
|
권환(權 煥)
|
通政大夫乙丑七月十二日到任丙寅十二月貶遆
1805년 7월 12일 ~ 1806년 12월
|
府使
|
이영건(李永建)
|
通訓大夫丁卯正月二十七日到任同年十一月初五日辭遆.
1807년 순조7년 1월27일~11월 5일. /1807-11-05(음) 순조7년
|
府使
|
허승(許 乘)
|
通訓大夫丁卯十一月初六日政除授己巳十二月政公州營將移拜. 1807년 11월 6일 ~ 1809년 12월 재임. / 1808-08-03(음) 순조8년
|
府使
|
심공준(沈公俊)
|
通訓大夫己巳十二月二十六日政除授辛未十二月二十日慶州營將移拜.
1809년 순조9년 12월26일~ 1811년 12월20일 재임
|
府使
|
구재중(具載重)
|
通訓大夫壬申正月初六日到任癸酉六月日貶遆
1812년1월6일~ 1813년 6월
|
1822-05-11(음) 순조22년 以 申在健 爲 巨濟府使, 改差 巨濟府使 申在健(5월13일)
府使 |
권성고(權聖枯)
|
通訓大夫癸酉八月十七日到任乙亥正月日通政加資同年六月日吏曹點
罷. 1813年(순조13년)~ 1815년(순조 15년) /
1815-04-06(음) 순조15년命 巨濟府使 權聖祜 等重推
|
府使
|
구석붕(具錫朋)
|
通訓大夫乙亥七月二十七日到任丙子十一月十六日罪人李判書 檢帳
修報事啓罷. 1815년(순조 15년)~1816년11월16일
|
府使
|
서경보(徐敬輔)
|
通訓大夫丙子十二月十五日到任己卯七月二十五日瓜敀. 1816년 12월 15일 ~ 1819년 (순조19년) 7월 25일 재임 / 1816-11-21(음) 순조16년 以 徐敬輔 爲 巨濟府使 口傳也.
|
府使
|
손수원(孫綏遠)
|
通訓大夫七月二十五日到任辛巳二月十一日遭內艱遆敀. 1819년 7월 25일 ~ 1821년 2월 11일 재임 / 1821-02-26(음) 순조21년
|
府使
|
송지염(宋之廉)
|
通政大夫辛巳四月初一日到任壬午五月初七日 啓罷
1821년 4월 1일 ~ 1822년 5월 7일 재임
|
府使
|
정수기(鄭壽基)
|
通訓大夫壬午六月二十日到任癸未二月日以加助島牧民事因司僕提調
草記罷遆. 1822년 6월 20일 ~ 1823년 2월 재임 / 1823-02-09(음) 순조23년 罷拿 巨濟府使 鄭壽基
|
府使
|
이제완(李濟完)
|
通訓大夫癸未三月二十八日到任甲申十二月二十二日政洪州營將移
拜. 1823년3월28일~ 1824년12월22일
|
府使
|
류면검(柳勉儉)
|
通訓大夫乙酉正月二十五日到任同年五月十八日遭大夫人喪遆敀
1825년1월25일~ 5월18일 순조25년
|
府使
|
정리규(鄭履逵)
|
通訓大夫乙酉七月初一日到任丙戌十二月二十六日政南兵虞侯移拜.
1825년7월1일~ 1826년12월26일 순조26년
|
府使 |
구성로(具聖魯)
|
通訓大夫丁亥二月初四日到任同年六月褒貶時以中題吏曹 啓罷. 1827년 2월 4일 ~ 6월 재임 / 1827-12-27(음) 순조27년
|
府使
|
민항석(閔恒錫)
|
通訓大夫丁亥七月二十一日到任庚寅正月二十五日瓜敀
1827년 7월 21일 ~ 1830년 1월 25일
|
府使
|
권겸(權 謙)
|
通訓大夫庚寅正月二十五日到任辛卯六月日貶罷. 1830년 1월 25일 ~ 1831년 6월 재임 / 權謙 爲 巨濟府使 1829-12-21(음) 순조(익종) 29년
|
府使
|
윤희겸(尹喜謙)
|
通訓大夫辛卯六月二十二日到任癸巳六月日忠州營將移拜.
1831년 순조임금31년 6월22일 ~1833년 순조33년 6월
|
府使
|
이현성(李顯城)
|
通訓大夫癸巳七月二十四日到任乙未十二月初六日瓜敀
1833년 순조33년 7월24일 ~ 1835년12월 6일
巨濟府와 知世浦 등의 화재에 대한 감독 소홀의 책임을 물어 巨濟府使 李顯城을 從重推考할 것을 청하는 備邊司의 啓. 1834-04-02(음) 순조34년
|
府使
|
이동식(李東植)
|
通訓大夫乙未十二月初六到任丁酉十二月二十四日都政忠州營將移拜.
1835년 헌종1년 12월6일 ~1837년 헌종3년 12월24일
|
府使
|
장유형(張有亨)
|
通訓大夫戊戌正月二十五日到任己亥六月二十九日都政淸州營將移拜.
1838년 헌종4년 1월25일 ~1839년헌종 5년 6월29일
|
府使
|
이용상(李容象)
|
通訓大夫己亥八月初三日到任庚子十一月初十日承訃奔敀
1839년 8월 3일 ~ 1840년 11월 10일
|
府使
|
신표(申 杓)
|
通訓大夫庚子十二月初三日到任壬寅十二月日 吏曹點罷
1840년 12월 3일 ~ 1842년 12월
|
府使
|
한정식(韓貞植)
|
通訓大夫癸卯二月初四日到任乙巳四月日以病辭遆. 1843년 2월 4일 ~ 1845년 4월 재임 . / 1845-03-23(음)헌종11년 罷黜 巨濟府使 韓貞植
|
府使 |
조경식(趙庚植)
|
通訓大夫乙巳四月三十日到任丁未八月初一日瓜敀
1845년 4월30일 ~ 1847년 헌종 13년8월1일
|
府使
|
손양석(孫亮錫)
|
通訓大夫㓒原縣監丁未八月初一日到任己酉十二月日貶罷.
1847년 헌종13년 8월1일~ 1849년 헌종15년 12월
|
府使
|
이관수(李觀洙)
|
通訓大夫庚戌正月三十日到任同年四月十五日以前職事繡 啓罷.
철종 원년 1850년 1월30일 ~ 4월15일
|
府使
|
이만겸(李晩謙)
|
通訓大夫庚戌五月十九日到任辛亥六月日貶罷.
1850년 5월19일 ~ 1851년 철종2년 6월
|
府使
|
허준(許 焌)
|
通訓大夫辛亥七月二十九日到任壬子十二月日吏曹點罷 1851년 7월 29일 ~ 1852년 12월 / '동의보감 저술 허준과 동명이인'으로 허준이 거제유배 온 것으로 잘 못 알려지기도 함. 이조의 지시로 그만두게 되었다.
|
府使
|
이복희(李宓熙)
|
通訓大夫癸丑正月二十八日到任甲寅九月日繡 啓罷
1853년 1월 28일 ~ 1854년 9월
|
府使
|
유상태(兪相台)
|
通訓大夫甲寅十月初四日到任乙卯六月日吏曹點罷
1854년 10월 4일 ~ 1855년 6월
|
府使
|
조광하(趙廣夏)
|
通訓大夫乙卯七月二十九日到任丁巳二月十六日別世.
1855년 철종 6년7월29일 ~1857년 철종8년 2월16일,별세
|
府使
|
이제만(李濟萬)
|
通訓大夫丁巳四月十七日到任戊午六月日貶罷. 1857년 4월 17일 ~ 1858년 6월 재임 / 1857-03-03(음) 철종8년 以 李濟萬 爲 巨濟府使
|
府使
|
이교응(李敎應)
|
通訓大夫戊午七月二十七日到任庚申閏三月日以病辭遆. 1858년 7월 27일 ~ 1860년 윤 3월 병환 사의 / 1860-03-10(음) 철종11년 命 巨濟府使 口傳差出催促下送
|
府使 |
정제민(鄭濟旻)
|
通訓大夫庚申閏三月二十五日到任壬戌二月日以病辭遆. 1860년 윤 3월 25일 ~ 1862년 2월 재임 / 1860-03-11(음) 철종11년 以 鄭濟旻 爲 巨濟府使 口傳也. 1862-02-22(음) 철종13년 罷 巨濟府使 鄭濟旻
|
府使
|
하겸락(河兼洛)
|
通訓大夫壬戌三月二十九日到任癸亥六月日貶罷. 1862년 3월 29일 ~ 1863년 6월 재임 / 1862-02-22(음) 철종13년 以河兼洛爲 巨濟府使
|
府使
|
박해구(朴海龜)
|
通訓大夫癸亥八月初八日到任乙丑九月日以善治因巡營門褒啓仍加一
年丙寅十月日瓜敀. 1863년 8월 8일 ~ 1866년 10월 재임 / 고종 2년 10월 1일 1865년 命 巨濟府使 朴海龜 泗川縣監 李普憲 竝一年仍任
|
府使
|
권혜(權 譓)
|
通訓大夫丙寅十月十五日到任丁卯十二月日散政全州營將移拜
1866년 10월 15일 ~ 1867년 12월
|
府使
|
이규선(李奎璿)
|
通訓大夫戊辰正月二十二日到任己巳十二月二十一日政尙州營將移拜
1868년 1월22일 ~ 1869년 12월 21일
|
府使
|
이붕래(李朋來)
|
通訓大夫庚午二月二十八日到任辛未六月日因巡營褒 啓陞通政壬申
五月日又因褒 啓加一苽承傳同年六月十六日別世. 1870년 2월 28일 ~ 1872년 5월 재임. / 1872-04-28(음) 고종9년 命 巨濟府使 李朋來限一瓜仍任
|
府使
|
송희성(宋熙昇)
|
通訓大夫壬申七月二十六日到任甲戌七月日都政三陟營將移拜. 1872년 7월 26일 ~ 1874년 7월 재임. / 수정봉 산성 축성 공사 강행 파직. 1872-06-26(음) 고종9년 以 宋熙昇 爲 巨濟府使 口傳也
|
府使
|
김학희(金鶴喜)
|
通訓大夫甲戌八月二十九日到任丙子六月日貶罷
1874년 고종11년 8월29일~ 1876년 6월
|
府使 |
서광승(徐光承)
|
通訓大夫丙子八月二十六日到任同年十二月日辭遞.
1876년 8월 25일 ~ 12월 재임 /
1876-12-07(음) 고종13년 罷黜 巨濟府使 徐光承 以 沈宜奭 代之.
|
府使
|
심의석(沈宜奭)
|
通訓大夫丙子十二月三十日到任丁丑十二月日吏曹點罷.
1876년 12월 30일 ~ 1877년 12월
|
府使
|
이태권(李泰權)
|
通訓大夫戊寅二月初二日到任庚辰九月二十九日瓜遞.
고종15년 1878년2월2일 ~ 1880년 고종 17년 9월29일
|
府使
|
윤석원(尹錫元)
|
平安道順川郡守庚辰九月二十九日到任壬午九月十四日都政全羅道
羅州營將移拜
1880년 고종 17년~ 1882년(壬午年, 고종 19년)
|
府使
|
윤영규(尹泳奎)
|
通訓大夫壬午十月二十七日到任癸未六月日辭遞
1882년10월27일 고종 19년~1883년 6월
|
府使
|
하승락(河承洛)
|
通訓大夫癸未六月十九日到任乙酉五月十一日京畿廣州中軍移拜
고종 20년(1883년) 6월 19일 ~ 1885년 5월 11일
|
府使
|
이민집(李敏集)
|
通訓大夫乙酉五月十二日到任同年十一月散政移拜藍浦縣
고종22년 1885년5월12일~ 12월
|
府使
|
고계정(高啓正)
|
通政大夫全羅道高敞縣監丙戌三月初二日到任同年七月十八日散政
濟州旌義縣監移拜 1886년 3월2일 ~ 7월18일. / 命 巨濟府使 申永熙 高敞縣監 高啓正 相換 1885-11-19(음) 고종22년
|
府使
|
박세혁(朴世赫)
|
通政大夫丙戌八月二十七日到任同年十二月日貶罷 1886년 8월 27일 ~ 12월 재임 / 旌義縣監 朴世赫 巨濟府使 高啓正 相換1886-07-14(음) 고종23년
|
改差 巨濟府使 류봉수(柳鳳秀) 1883-05-11(음) 고종20년. 이복헌(李復憲) 李復憲曾經巨濟府使
府使 |
박병용(朴炳容)
|
通訓大夫丁亥二月二十六日到任戊子二月初十日 政內禁將陞拜
1887년 고종24년 2월 26일 ~ 1888년 2월 10일
|
府使
|
이일(李 鎰)
|
嘉善大夫平安道郭山郡守戊子五月十八日到任同年十二月初十日政騎
士將內移 1888년 5월18일 ~ 1888년 12월10일
|
府使
|
한억길(韓億吉)
|
通訓大夫己丑三月初九日到任壬辰正月初十日散政全羅道樂安郡守移
拜. 1889년 3월9일 ~ 1892년 1월10일 고종29년
|
府使
|
최주현(崔周顯)
|
通訓大夫壬辰三月初十日到任癸巳十二月日苽 [교정주:瓜] 遞
1892년 3월10일 ~ 1893년 12월
|
府使
|
임창호(任昶鎬)
|
通訓大夫甲午三月二十五日到任丙申正月日辭遞
1894년 3월25일 ~1896년 1월. 거제 마지막 부사
|
郡守
|
이건록(李建祿)
|
通政大夫丙申二月十八日到任丁酉五月初五日依願免本官
1896년 초대군수, 고종32년2월18일 ~1897년 5월5일
|
郡守
|
이조현(李祖鉉)
|
通訓大夫丁酉五月十三日到任戊戌七月十八日拿去
1897년 5월3일 ~ 1898년 7월18일
|
郡守
|
유과환(兪果煥)
|
通政大夫戊戌八月十五日到任
1898년 8월15일 ~ 1901년 2월 16일
|
郡守
|
김희원(金熙元)
|
1901년 2월17일 ~ 1901년 12월 9일
|
郡守
|
이중철(李中喆)
|
1902년 1월 9일 ~ 1902년 4월 8일, 거제군에 부임 하지 않음.
|
郡守
|
한응규(韓應圭)
|
1902년 5월 7일 ~ 1902년 8월 26일
|
郡守
|
권중훈(權重勳)
|
권명호(權明浩), 1902년 9월 20일 ~ 1905년 2월 10일
|
郡守
|
윤상우(尹相佑)
|
윤상태(尹相泰), 1882生~1942卒, 1905년 3월 20일 ~ 1906년 6월 19일.
|
郡守
|
이교성(李敎承)
|
1906년 6월 19일 ~10월 9일
|
郡守
|
고희준(高羲駿)
|
1906년 11월 19일 ~ 1907년 12월30일. 친일파.
|
郡守
|
이재성(李在性)
|
1908년 ~1910년, 함양군수 역임
|
郡守
|
이원호(李元鎬)
|
1910년 1월8일 ~ 1911년 10월, 김해군수 역임
|
郡守
|
전태흥(全泰興)
|
1868生~1918년卒, 재직1911년 11월1일~ 1914년2월 거제마지막군수, 1914년 3월1일 초대 통영군수, 창원군수, 밀양군수 역임.
|
뉴스앤거제 nng@daum.net
<저작권자 © 뉴스앤거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